블라인드채용이란?
- - 채용과정(서류·필기·면접) 에서 편견이 개입되어 불합리한 차별을 야기할 수 있는 출신지, 가족관계, 학력, 외모 등의 항목을 걷어내고 지원자의 실력(직무능력)을 평가하여 인재를 채용
- - 블라인드 채용은 ①‘차별적인 평가요소를 제거’하고, ②‘직무능력을 중심으로 평가’하는 것
- * [출처] 「공공기관」 블라인드 채용 가이드라인 (2017.7 관계부처 합동)
블라인드채용의 필요성
- 기존 채용제도의 불공정 해소
- - 기업의 불공정 채용관행에 관한 사회적 불신해소
- - 차별적 채용은 기업 경쟁력 저해요소라는 인식유도
- - 직무중심 인재선발을 통한 공정한 채용제도 구축
- 직무중심 채용을 통한 사회적 비용 감소 필요
- - 직무 관련한 채용을 통한 지원자의 취업준비 비용감소
- - 기업 역시 직무재교육, 조기퇴사율 등 감소를 통한 채용 비용 감소실현
- - 불공정 채용관행에 의한 사회적 불신 해소
블라인드채용의 특징
- 블라인드 채용은 지원자를 평가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다.
- - 직무능력중심 평가 + 차별요소 제외 = 블라인드 채용
- 블라인드 채용의 평가요소(평가항목, 평가기준)는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역량이다.
- - 평가기준 = 직무수행에 필요한 직무능력
블라인드채용 프로세스
블라인드 채용은 기존 직무중심채용 프로세스와 동일 (단, 모든 과정에서 차별적인 요소를 제외하는 활동이 추가)
- 채용설계
- - 채용계획
- - 직무능력 정의 및 직무기술서 개발
- - 전형설계
- - 차별요소 결정
- 모집
- - 채용공고
- - 모집과정 차별요소 삭제
- - 지원서 접수 관리
- 선 발
- - 서류, 필기, 면접 등
- - 채용과정을 통한 직무적합 인재선발
- - 구조화된 면접도구
블라인드채용 평가요소
- 직무에 필요한 직무능력을 토대로 차별적 요소를 제외한 평가요소 도출·정의
- NCS(국가직무능력표준) 활용 → NCS에 제시된 직무별 능력단위 세부내용, 능력단위 요소의 K·S·A를 기반으로 평가요소 도출
- 기업의 인재상 · 채용직무에 대한 내부자료 → 직무기술서, 직무명세서를 통해 지원자에게 사전안내
블라인드 채용의 기업 실천과제